보시오, 학봉아재!  
예시원 민담시집 (전자책) / 한국문학방송 刊  
 
무더운 열대야가 괴롭히는 여름날 반려견 산책 시키다 대형견에 다리를 물려 더욱 괴로운 날이다. 
가을이 먼 소식일 때 세상을 제대로 바라보기 위해 나는 문학을 선택하였다. 
두 눈 부릅뜬 새벽이면 북방 정벌을 가듯 승용차 시동을 걸고 지난밤 채우지 못한 원고지를 구겨 놓는다. 
나는 호구지책과 문학 그 경계 사이에서 늘 맴돌았다.  
시는 쓰는 이와 보는 이 모두가 즐거운 일이다. 비로소 시원한 가을이다.  
― <여는 글>  
 
 
       - 차    례 -      
 
■ 여는 글  
 
제1부  
아금박지게 살아봐   
			
				
					
					 
				
				
					
						
					
				
			아제 아제 하지 말어  
가마에 다시 불을 붙이다  
아나한 아네모네  
야 이 쇠물닭 같은 놈아  
겨울 준비  
가람(江)과 뫼(山)  
감국 피는 들녘에서  
조그만 산울림 소리  
관솔가지와 사람나무  
사람 사는 게 별 것 없어  
학봉아 아랫목에 푹 지져라  
선견지명이 있어야 혀  
나오미상 남편의 촐삭방정   
 
제2부  
도처춘풍(到處春風)  
네가 바로 호랑인 거여  
형님 술 한 잔 사줘요  
세상만사가 A4 한 박스다  
조국을 향한 그대의 매화향기  
레테의 경계에서  
무저갱을 피해 가다  
당신만 알고 있어 이  
곰바위처럼 살아야 혀  
왜장치고 다니더니 내리막이다이  
자고로 사내란 말이여  
곰삭은 간날 이바구  
이른 봄의 망중한  
주광성(走光-性)과 줄탁동기(啐啄同機)  
지랄장풍하고 자빠졌네(1)  
지랄장풍하고 자빠졌네(2)  
왜 안에서들 지랄장풍인 게야  
초당(草堂) 선생 새장가 보내기  
지랄장풍엔 움직이면 다 쏜다니 께   
 
제3부 
풀떼죽을 먹더라도 사람답게 살어야제  
사내는 사내가 알아보는 거여  
기생충과 하루떼기벌이  
해적이는 햇빛신부와 할마이들  
허떡개비와 허심청(虛心淸)  
백두산 상산봉에 태극기는 꽃아야지요  
2023년 3월 어느 느자구 없는 날에  
내 그리움의 향기는 가고  
닭다리가 든 해장국을 만나다  
꼬리를 달고 다니다  
어느 도붓장수의 이바구  
살림마심이 별 거 아니여  
산을 베고 누워 보는 세상  
생과 사가 밥 한 숟가락이다  
탁발승과 회사원  
굴삭기 조종사는 어디에  
거지여 거지  
남자 세상, 여자 세상  
너는 자존심도 없냐  
국화빵 틀과 풀빵 틀   
 
제4부 
사람이면 사람답게 살아야지  
에이리 에잇eighty eight부터 달라진 역사  
사람 낚는 어부와 불신자의 푸념  
바다의 아침과 무진기행  
태양광은 광팔아 먹고 쑥대밭 되었지  
고공 점프 마스트 한 날  
점점 사라져가네  
삶의 긍정과 비관에 대한 단상  
그 골목에 가면 그 녀석이 춤을 춘다  
15분 동안 일어나는 일들  
인수봉과 아리수의 사랑  
그대 흙수저라 부르지 말자  
성질 급한 빨리 빨리의 원조  
논배미에 황구렁이가 스윽  
 
■ 서평 
거친 광야에서 제자리로 돌아온 바람 같은 삶  
 
			
				
					
					 
				
				
					
						
					
				
			 
 
[2024.11.20 발행. 207쪽. 정가 5천원]  
 
◑ 전자책 미리보기(클릭) 
 
※ 이 책은 콘텐츠몰.com 에서 바로 구매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콘텐츠몰 바로가기 (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