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장마철을 앞두고 집중호우, 태풍 등 풍수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좁은 골목까지 침수 위험을 감지할 수 있는 신기술을 전국 최초로 도입한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 풍수해 안전대책'을 12일 발표했다.
시는 반지하 주택이나 지하차도, 하천 산책로 등 침수나 고립 위험이 큰 저지대를 집중적으로 관리한다. 특히 올해부터 반지하 주택이 밀집한 관악·동작·영등포구 등 3개 자치구 내 골목에 전국 최초로 '반지하 침수 경보시설'을 도입한다. 수위 관측 장비가 달린 레이더 센서가 실시간 수위를 감지해 경보하는 시스템으로, 침수 감시망을 좁은 골목 단위까지 확대할 수 있다.
집중호우로 빗물이 시내 하천으로 몰려 급격하게 수위가 상승하는 현상을 막기 위해 공원 연못, 호수에 일시적으로 빗물을 담는 '빗물그릇(자연형 저류지)'도 5개소 추가해 총 12개소를 운영한다. 이를 통해 빗물을 최대 75만7,000톤 저장할 수 있을 전망이다. 비가 오면 빠르게 침수돼 고립 사고 우려가 있는 하천 산책로는 예비특보 단계부터 진·출입 차단시설과 자동경보시설을 가동한다. 침수 위험이 있는 지하차도 98개소도 중점 관리 대상으로 지정해 차도면이 10cm 이상 침수되면 즉시 통제에 들어간다.
이 외에 수도권 기상청과 일대일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는 전용 핫라인을 구축하고, 15일부터 10월까지 '풍수해 재난안전대책본부'를 24시간 운영한다.
서울시는 대규모 방재 시설도 꾸준히 확충하고 있다. 올해 중 도림천, 강남역, 광화문 일대에 집중호우 시 빗물을 저장했다 배수하는 '대심도 빗물배수터널' 착공에 들어가고, 2030년까지 빗물펌프장 9개소와 빗물저류조 3개소 신·증설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이성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