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로구의회 김미주 의원이 9월 11일 열린 제338회 구로구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구청 집행부의 싱크홀 대응 체계 마련을 촉구하는 자유발언을 하고 있다.
김미주 구로구의원 “5년 주기 검사 한계… 체계·예산 및 협업 필요”
관내 30년 지난 노후 하수관 182.6km로 전체 55% 차지
올해 초 언론 보도를 통해 서울시 전역에 50곳 이상의 싱크홀(땅꺼짐) 고위험 지역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구로구의회가 구로구 특성에 맞는 싱크홀 대응 체계 마련을 구 집행부에 촉구했다.
구로구의회 김미주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은 지난 9월 11일 열린 제338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자유발언에서“서울시에는 무려 50곳 이상의 싱크홀 고위험 지역이 존재하며, 그 가운데 구로구 일부 지역도 포함됐다”며 “지반침하 사고는 언제든 발생할 수 있어 구 집행부가 주민의 불안을 해소시켜 드려야 할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땅 꺼짐 현상의 51%가 상·하수도관 누수로 발생했다는 발표가 있다”며 “구로구는 노후 하수관 밀집 지역이 많아 그 위험성이 더욱 높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김 의원이 이날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구로구 하수관은 총 327km로 노후 기준이 되는 30년이 지난 하수관은 182.6km로 전체의 55%를 차지하고 있다. 노후 하수관이 많은 만큼 싱크홀 위험도 상대적으로 높다는 지적이다.
김 의원은 특히 현행 5년 주기 검사 체계의 한계를 지적하며 구로구 특성에 맞는 지반침하 대책을 세울 것을 구 집행부에 당부했다.
김 의원은“5년 주기의 정기검사 체계로는 급변하는 지반 상태를 온전히 점검하기 어렵다”며 “정기검사와 긴급검사 체계의 강화, 지반안전 확보를 위한 예산 항목 신설 및 확대, 부서 간 협업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끝으로 주민이 직접 GPR 탐사 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지도 서비스를 시작한 성동구 사례를 언급하며 “구로구도 주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공공이 가진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서비스가 필요하다”며 “앞으로도 싱크홀로부터 안전한 구로구를 위해 집행부에서 철저히 대비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재차 당부했다.
<채홍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