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전산실 화재 여파…정부 핵심 행정시스템 복구까지 최대 4주 예상
96개 주요 정보시스템 전소…647개 중 62개 복구, 민원 서비스 차질 불가피
▲ 지난 26일 대전시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 화재로 소방당국이 출동한 모습
지난 26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리튬배터리 이전 작업 중 화재가 발생, 전산장비 740대와 배터리 384대가 전소했다.
2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낮 12시 기준 전체 장애 시스템 647개 가운데 62개가 복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 조달청 나라장터 대금 결제 시스템 등이 추가로 정상 운영에 들어갔다.
29일 오전 9시에는 47개가, 10시에는 55개가 복구된 것으로 집계돼 시간이 지날수록 복구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기획재정부 ‘오아시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시스템 등 주요 시스템도 잇따라 복구됐다.
그러나 화재로 전소된 5층 7-1 전산실 내 96개 시스템은 여전히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정부는 이들 시스템을 대구센터 민관 협력형 클라우드 서비스로 이전해 재가동할 계획으로, 최소 2주에서 최대 4주 이상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외부 소화수조에 담겨 냉각 중인 불에 탄 리튬이온 배터리 모습
피해 시스템에는 공무원 업무망인 ‘온나라시스템’, 국민 민원 창구인 ‘정부24’와 연계되는 서비스, 국가법령정보센터 등 핵심 인프라가 포함돼 있다. 특히 행정전자서명인증서(GPKI) 발급이 중단되면서 주민센터와 구청 민원 서비스가 사실상 멈춘 상태다. 구로구에서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따른 주요 정부시스템 장애 발생으로 제한 서비스를 안내하고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정부는 복구가 완료된 서비스 목록만 공개하고 있으며, 아직 오류가 지속되는 시스템 명단은 공개하지 않아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이성권 국민의힘 의원은 “국민의 일상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가 무엇인지 알 권리가 있다”며 정부에 즉각적인 명단 공개를 촉구했다.
정부는 복구 현황을 네이버·다음 등 포털과 보도자료를 통해 실시간 공지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전체 정상화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성용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