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산과학원(원장 서장우)은 지난 2015년부터 남극이빨고기에 위성전자표지*를 부착하여 연구를 진행한 결과, 남극이빨고기의 행동특성을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위성전자표지 (Pop-up Satellite Archival Tags) : 수심, 수온 등을 감지하는 전자 센서가 내장된 자동분리 인공위성 전자표지)
현재 남극해양생물자원보존위원회(CCAMLR * )의 25개 회원국 중 우리 나라와 미국, 뉴질랜드가 위성전자표지를 활용한 남극이빨고기 이동경로 및 행동 특성 연구를 진행 중이며, 남극이빨고기의 시기별 행동 특성을 밝혀낸 것은 우리나라가 처음이다.
CCAMLR(Commission for the Conservation of Antarctic Marine Living Resources) : 남극 해 수역의 해양생물자원을 보존하고, 합리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1982년에 설립된 국제기구로, 이빨고기류와 크릴류 등을 관리(25개 회원국 보유)
|
국립수산과학원은 남극이빨고기의 이동경로 및 행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5년 남극이빨고기 13마리에 위성전자표지를 부착하여 방류하 였다.
이후 위성전자표지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남극이빨고기는 연중 수심 1000m 이상의 깊은 곳에서 서식하다가 9월에만 400m가량 얕은 수심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9월에 수심 400m로 이동한 이빨고기는 특히 낮 시간대에 일정한 패턴으로 상승하는 행동을 보였는데, 이러한 특이행동은 산란 또는 먹이 섭취와 관련된 것으로 추측된다 .
또한, 위성전자표지에 기록된 수온자료 및 남극해 해양환경자료를 바탕으로 1년간의 남극이빨고기 이동경로를 확인한 결과, 특별한 서식지 이동은 없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위성전자표지가 발견된 곳이 당초 방류지점과 불과 4km 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남극이빨고기의 해역 간 이동은 거의 없는 것으로 추측된다.
국 립수산과학원은 이번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남극이빨고기의 서식범위, 회유경로 등 세부 적인 행동특성과 연령 추정, 위 내용물 분석을 통한 먹이 조성, 생식소 분석을 통한 산란기 추정 등을 위한 연구를 지속적 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서장우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위성전자표지를 이용하여 밝혀진 남극 이빨고기의 행동특성은 산란장 추정을 위한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것 ” 이라며, “앞으로도 남극이빨고기 관련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국제 수산 기구에서 우리나라의 과학적 기여도를 높여 나가겠 다.”라고 말했다.
한편, 남극해양생물자원보존위원회에서는 남극이빨고기 자원 관리를 위해 남극해 각 해역별로 한계어획량을 지정하는 등 보존조치를 시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를 포함한 회원국들 도 매년 한계어획량보다 낮은 수준 으로 어획하는 등 체계적인 자원 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