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리아 여인아  
이룻 이정님 시집 / 동경 刊  
  
  「저는 지금까지 내 몸둥이만 살찌우는 목자요, 바람부는 대로 몰려 다니는 물기 한 점 없는 구름 덩어리요, 죽고 또 죽어 뿌리까지 뽑힌 열매 하나 없는 가을 나무요, 만사 부끄러운 줄 모르고 계속 수치의 거품만 내뿜어대며 살던 사나운 바다 물결이었습니다.」 
  聖經 유다서에 있는 말씀으로 그 동안의 제 삶을 吿白하며 당신앞에 이제는 수가성 우물가 사마리아 女人으로 다가와 가슴이 타들어가는 渴症을 호소하며 무릎을 끓습니다. 
  많은 한을 가슴에 품고 살다 돌아가신 친정 어머님을 기리며 내 놓았던 제 1시집 『어머님의 물레』를 떠듬떠듬 읽으시며 눈시울을 적시던 總母님도 95년 8월 5일 20시 50분 서둘러 강건너 本鄕집 찾아 떠나셨고, 어머님이 쓰다가 남기고 가신 318,640원을 다니시던 교회에 바치며 계속 눈물을 닦아내던 그 이(큰아들) 옆에서 같이 따라 울며 언젠가는 우리도 모든 짐 훌훌 던지고 따라 나설 길, 그만 서러워하자 마음 다지며 다시 序文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處世妄世면 造物樂天이라」 
  새는 공기가 있었기에 공기를 안고 하늘을 날 수 있었고, 물고기는 물이 있었기에 물안에서 헤엄을 칠 수 있듯이 내가 이처럼 글을 쓸 수 있는 모든 與件을 구비해 주신 모든 이에게 가슴 가득 감사하는 마음으로 앞으로도 남은 세월을 흩어짐 없이 추스려 좀 더 겸허한 자세로 글을 쓰겠다고 다짐해 봄니다. 
  아무리 珍羞盛饌이라도 모두에게 맛있는 음식이 되라는 법은 없다. 비록 내 글이 초라하지만 나만의 맛깔을 충분히 넣어 물 흐르듯 철저히 흐르는 感I靑에 순응하며 形式보다는 眞實을 더욱 소중히 아끼며 내 가슴 또는 다른 사람의 가슴을 詩라는 그릇에 담아보렴니다. 
  이 시를 읽는 모든 이에게 같은 맛깔로 가슴에 닿기를 所望하며 두번째 나오는 제 2시집을 아들딸 육남매를 남기시고 올해 79세로 세상을 하직하신 저의 사랑하는 시모님께 바치렵니다.  
― <머리말>  
 
 
    - 차    례 -   
 
1부 사마리아 女人아 
채워주소서  
사마리아 여인아  
			
				
					
					 
				
				
					
						
					
				
			아침  
고독  
가나안에 살고 싶어  
사랑 한 쪽  
할머니의 가을 
머무는 별 
갈망하는 가슴들  
어머님의 물레 
내고향  
난 알아요 악보  
난 알아요  
엄마 마음  
보아스의 은혜 입어  
서유 수상집에서  
  
2부 어머님 사랑 덮고 
어머님 사랑 덮고  
꽃밭  
쌓여진 세월  
하늘 가득 노란 깃발 펄럭이고  
누구 
폐허의 폼페이  
바람  
눈뜬 장님  
엄마생각 1   
엄마생각 2  
엄마생각 3  
엄마생각 4  
일기 4편  
서유수상집에서  
  
3부 아가야 
아가야  
너와 나 
친구야 
엄마는 안와요 
나이아가라 폭포 
용문사 은행나무 
잃어가는 세월 
갈매기 되어 
한 그루 나무가 되리 
난지도 
쎄느 강변에서 
종착역 
두만강 너머 내 고향 
낙엽 
여름 한 낮 
서유수상집에서  
  
4부 버팀목  
버팀목  
가을 오는 소리 
가을날  
금문교  
해질녘 하늘  
눈아 내려라  
너, 아시아의 봉화여  
해조마을 아이 
하동  
나팔꽃과 메꽃 
동자승  
입학실 날  
내 이름  
예비한 곳에  
엄마 향기 
눈사람  
  
5부 가을 여행을 해야만 해  
행복한 우리집  
행복한 우리집 악보  
꿈속에서  
가을 여행을 해야만 해  
아이와 부루말 되어  
백두산 천지  
뉘우침  
나들이  
가을 빛 파란 하늘  
秋夕  
홍콩의 蛋民들  
흩어진 별  
그녀가 건너간 강  
서유수상집에서  
 
시를 읽고(I) / 박동오  
시를 읽고(Ⅱ) / 이홍열 
  
			
				
					
					 
				
				
					
						
					
				
			 
  
[1995.11.20 초판발행. 146쪽. 정가 4천원(종이책)] 
 
※ 이 책은 콘텐츠몰.com 에서 바로 구매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콘텐츠몰 바로가기 (클릭) 
 
◑ 전자책 미리보기(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