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해양조사원(원장 홍래형)은 우리나라 무인도서 해양환경을 오염시키는 스티로폼 쓰레기의 실태 파악을 위해 투입한 고해상도 광학위성 시범활용 결과를 발표하고,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확대 활용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국내에는 2,800여 개의 무인도서가 있는데, 지리적 특성상 접근이 어렵고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어 무인도서의 해안가에 몰려든 쓰레기 실태를 조사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국립해양조사원 국가해양위성센터는 고해상도 광학위성을 활용하여 무인도서 해안쓰레기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올해 5월부터 9월까지 시범조사를 실시하였다. 시범조사 대상은 위성 해상도와 쓰레기 종류별 분광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해안쓰레기의 약 70%를 차지하는 스티로폼으로 정했다.
국립해양조사원 국가해양위성센터는 우리나라 다목적 실용위성인 ‘아리랑 3A호(해상도 0.55m)’를 활용하여 동,서해 해수욕장 2곳에서 스티로폼 분류정보 수집을 위한 시험을 수행한 뒤, 인천시 옹진군에 있는 무인도서 ‘사승봉도’를 대상으로 위성영상을 촬영하였다. 이후 아리랑3A호가 촬영한 위성영상과 드론 및 인력 투입을 통한 현장조사결과를 비교하여 위성영상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위성영상은 조사구역 안에 있는 모든 쓰레기를 종류별(목재, 폐어구 등)로 분류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으나, 쓰레기로 의심되는 물체의 분포를 대부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스티로폼의 경우, 현장조사와 비교하여 약 84% 수준의 탐지 확률을 보여 현장 적용의 가능성이 파악되었다.
국립해양조사원은 주요 무인도서 2개소를 선정하여 2021년부터 해안쓰레기 실태조사에 활용하는 등 향후 단계적으로 활용 범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다만, 2,800여 개가 넘는 무인도서의 쓰레기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이 자료를 확보하는 것 외에도 국내외 고해상도 위성영상 수집을 위한 인프라 개선과 해안 쓰레기별 분류정보 자료(DB) 구축을 위한 추가조사가 필요한 바, 국립해양조사원은 재원 확보 등을 위해 관련부서 및 지자체와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홍래형 국립해양조사원장은 “무인도서 해안쓰레기 조사에 위성을 활용하게 되면 인력 투입 없이 한 번의 촬영으로도 최대 4개 정도의 무인도서를 조사(조사범위 약 15km)할 수 있게 되므로, 기존 인력투입 조사에 비해 경제성과 효율성이 훨씬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해양수산부와 국립해양조사원은 위성영상 분석 결과를 지자체 등과 공유하여 스티로폼 등 무인도서 해안가 쓰레기 수거시 적극 활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하여, 해양수산부는 해양쓰레기 수거,처리 등 관련 예산을 2020년 990억 원에서 2021년 1,323억 원으로 대폭 확대하는 한편, 지난 7월 발표한 제2차 무인도서 종합관리계획과 연계하여 위성영상을 활용한 무인도서 관리 및 관련 기술개발도 적극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정선규 기자>
http://seoultoday.kr/jsg
서울오늘신문.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