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1차부터 3차까지 지정한 규제자유특구의 지난해 12월말 고용 현황은 8033명으로 지정 전에 비해 1255명(18.5%)이 늘었다고 지난 19일 밝혔다. 규제자유특구는 올해 말까지 829명을 추가 고용할 계획이다.
규제자유특구의 일자리 창출은 주로 1차와 2차 특구에서 나타났고(1054명), 지난해 7월 지정 후 2021년 실증을 준비 중인 3차 특구에서도 일부 증가(201명) 했다. 이는 지난해 고용현황 조사를 통해 확인된 일자리 창출성과(662명)가 실증사업이 본격 추진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크게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특구별로는 전북 친환경자동차특구가 최다 고용증가(148명)를 보이며 지엠(GM) 철수 후 지역 내 일자리 회복에 지속적으로 기여 중이고, 초소형전기차 등의 생산 공장이 구축된 전남 이(e)모빌리티 특구(115명)와 대구(102명), 대전(146명)의 바이오 분야 특구 내 일자리 창출 효과가 두드러졌다.
타 지역에서의 이전 기업(143개)을 통한 고용 증가 비중은 40.9%(513명)로 본사이전, 지사 설립 등 지역으로의 기업 이전에 따른 일자리 창출 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실증사업의 진전에 따라 상용화 등을 위한 추가 신규 고용도 예정돼 있어 규제자유특구제도가 지역의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기업 규모별로는 소기업·소상공인(+546명·43.5%), 중기업(+385명·30.7%), 중견기업(+177명·14.1%)이 전체 특구사업자 일자리 증가의 88.3%(1108명)를 차지해 중소기업 위주로 일자리가 창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업종별로 고용 규모, 증가율이 모두 높은 업종은 제조업, 정보통신업, 전문 과학 기술서비스업(1050명)으로 전체 고용 증가(1,255명)의 83.7%를 차지했고 이 중 모빌리티(자율차·친환경차 등), 의료기기, 배터리 등 제조업의 비중(699명·55.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업력별로는 창업 후 3년 미만 21.3%(+267명), 창업 후 3년 이상 7년 미만 24.1%(+302명), 창업 후 7년 이상 54.7%(+686명)로 전체 특구사업자 중 창업 후 7년 이상 기업에서 고용증가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2020년 7월 조사와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이는 사업화 과정에 대한 경험과 신기술·서비스에 대한 기술 성숙도의 차이에 따른 사업화 추진력 격차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 특구사업자는 2021년 말 실증 종료 때까지 총 829명의 신규 고용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실증 완료 후 신기술·서비스의 상용화 추진과정에서 본격적인 일자리 창출 효과가 추가로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채홍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