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질이 씨 귀촌일기
 김여울 시집 (전자책) / 한국문학방송 刊
 모질이 씨 산촌에 들어와 몸을 부리고 산지도 십 수 년이 되었다.
 산촌에 정붙여 살다보니 모질이 씨 심신 그렇듯 한가로울 수가 없다. 한가롭다는 것은 마음이 거칠 게 없이 여유롭다는 뜻이렷다.
 그렇다고 모질이 씨 쇠털같이 많은 세월을 주야장천 손발 접어놓고 무위도식으로 지낸다는 뜻은 더욱 아니다. 대처에서는 어쩔 수 없이 남의 눈치 살펴가며 살아야 했지만, 그때마다 그 얼마나 숨 막히는 삶을 살아야 했던가. 아, 그것은 평소 자연을 그리고 사모하는 모질이 씨의 성정과는 너무도 거리가 멀었던 한낱 헛물 들이켜는 가식적 생활이었음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다.
 모질이 씨, 산촌에 멍석 폈다고 해서 세월아 네월아 타령을 하며 그냥 사는 게 아니다. 시쳇말로 열심히 살고 있는 중이다. 농사철이면 토박이들과 어울려 누구 못지않게 많은 땀을 훔치며 농사일에 여념이 없다. 뒤늦게 달리 무슨 탐욕이 일어서가 아니라 모질이 씨 그저 하고 싶어서 하는 일이다.
 모질이 씨는 농사일이 그렇듯 재미질 수가 없다. 농사일이 재미지다 보니 즐거움은 배가 되더라. 기실 갈고 뿌리고 키우고 거두는 농부의 수고로움만큼 가슴 뭉클하게 하는 일이 또 있을까.
 농사를 짓는다는 것은 스펙을 쌓아가는 일인 것 같더라. 지나고 보니 그 스펙 하나하나가 시가 된다는 걸 뒤늦게 알게 된 모질이 씨….
 모질이 씨 마침내 그것들을 한 자리에 모아 고향그리기 연작시집이란 걸 내기에 이르렀다. 이 책 속의 편편들은 산촌 고을 장수에 대한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할 수 있겠다.
 끝으로 시란 쉽게 읽히도록 지어야 한다는 게 이 모질이 씨의 평소 지론이다. 그 지론을 <모질이 씨 귀촌일기>에서 보여주기로 했다.
 ― 머리말
 
 
 - 차    례 -
 
 머리말
   제1부 산밭에 갈 때는모질이 씨 귀촌 일성
 
  모질이 씨네 검둥개 시작이 절반이더라
 귀촌 첫해 농사
 산밭에 갈 때는
 감자농사
 감자농사
 감자농사
 감자농사
 호박 모, 오이 모
 호박 모, 오이 모
 호박 모, 오이 모
 한 포대 거름 무게
 귀촌 그리기
 귀촌 그리기
 귀촌 그리기
 귀촌 그리기
 혼자 크는 게 아니더라
 청정먹거리
 청정먹거리
 청정먹거리
 청정먹거리
 비닐하우스
 비닐하우스
 산수유 꽃
 가는 봄
 우리 꽃 봉숭아
 풀꽃 이름 찾기
 개망초꽃
 참 농부 왈
 잡초
 잡초
 잡초
 잡초
 다 잊게 되걸랑
 
 제2부 오디가 익을 때면
 보건 진료소
 마을회관에서
 점당 십 원 화투놀이
 참 좋은 세상
 신수가 확 피었구먼
 행복택시란 것
 고향의 울 엄니들
 풍경 하나
 우리 동네 어떤 사람
 다섯 방울들 애비
 농투성이 손
 마디 굵은 손
 때깔 고운 입성
 예전엔 몰랐네
 참 알 수 없는 것
 그 옛날의 외딴집
 사과 꽃
 감꽃을 씹으며
 오디가 익을 때면
 한가윗날
 고향이 된 초임지
 천년 느티나무
 마늘밭에서
 호박처럼
 버리지 말자는데
 떠돌이 개
 느린 삶 만들기
 가을 들길에서
 오두막 봄 풍경
 산촌 여름날
 가을 볕
 눈 내린 산촌 새벽
 옛날이 된 감나무
 묵정밭
 가을날에
 
 제3부 도회 사람들 로망 폐교 앞에서
 신작로
 수분령
 양달북치 하북마을
 먹방마을
 중북치마을
 응달북치 상북마을
 원북마을
 도장마을
 말치마을
 쇠내 금천마을
 다리골마을
 대성방마을
 지지마을
 사암리 가는 길
 시내버스를 타면
 장터
 팔려가는 소
 고추를 따며
 들깨타작
 도회 사람들 로망
 농사는 적성에 맞지 않아
 엄니 일 좀 그만 혀유
 산촌 일기
 산촌일기
 산촌일기
 장수 한우
 장수 향교
 충절의 꽃 주 논개
 타루비
 의병장 전해산
 백용성 큰스님
 건재 기념관
 장수 사람들
 
 ■ 작가 노트
 시를 쉽게 써야 하는 이유 아닌 이유
   			
				
					
					    [2021.01.20 발행. 245쪽. 정가 5천원(전자책)]
 ※ 이 책은 콘텐츠몰.com 에서 바로 구매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콘텐츠몰 바로가기 (클릭)
 
 ◑ 전자책 미리보기(클릭)
 |